본 연구는 유아들에게 존재하지 않는 사람과 집을 그리도록 했을 때 그림을 변형하는 과정에서 고정된
순서를 보이는 것과 작업 기억의 측면인 실행 기능이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Karmiloff-Smith의 표상 재 기술 모형은 처음엔 언어로 표현할 수 없는 암묵적 지식으로 출발하여 점
점 언어화할 수 있는 명시적 지식으로 바꾸어가는 변화 과정을 설명해 준다. 또한 발달은 영역 특수하
며 어떠한 아동도 한 영역의 내부와 여러 영역 들 모두에서 다양한 수준으로 표상되는 지식을 가질 수
있다고 하였다. 사람 그림과 집 그림을 그리는 순서가 고정되어 있는 4~6세 유아들 211명을 대상으로
사람, 집, 머리 두 개 달린 사람, 날개 달린 집, 존재하지 않는 사람과 집을 그리도록 하며, 또한 실
행기능을 측정하는 과제 4가지를 적용하였다. 이후 유아들이 보이는 그림 순서의 고정성이 실행기능
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 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그림 순서의 고정성은 유아의 연령에 따라 차
이가 있었다. 둘째 실행기능도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셋째 그림 표상의 고정성 및 표상의 변화
는 실행기능과 관련되는 부분이 적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 그림의 표상에 미치는
보다 심도 있는 이해와 교육현장에 필요한 이론의 필요성을 논의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