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형치료를 통한 가족각본의 치료 사례연구
- A Case Study on Family Script Therapy Incorporating Figure Therapy
- ㆍ 저자명
- 이영하,최광현
- ㆍ 간행물명
- 인형치료연구
- ㆍ 권/호정보
- 2015년|1권 1호(통권1호)|pp.21-41 (21 pages)
- ㆍ 발행정보
- 한국인형치료연구회|한국
- ㆍ 파일정보
- 정기간행물|KOR| PDF텍스트(2.09MB)
- ㆍ 주제분야
- 심리학
우리 모두는 단지 가족의 일원으로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역사와 갈등과 상처의 연장선상에 서 태어난다. 따라서 불행한 패턴을 반복하고 있는 가족문제의 회복은 단지 누군가에게 문제의 책임 을 돌리기보다 가족 안에 반복적으로 전수되어 온 아픔과 상처를 발견하는 데 있다. 불행한 가족들 안에서는 대부분 여러 세대에 걸쳐 지속되는 일정한 패턴이 발견된다. 가족세우기의 선구자인 B. Hellinger는 이러한 세대 전수를 통해 발견되는 반복적인 패턴에 주목하였다. 무의식적으로 따르고 있 는 불행한 패턴을 교류분석(TA) 이론의 각본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며, 이를 가족각본이라 지칭하였 다. 본 연구는 교류분석 이론의 인생각본(life script)이 개인의 인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과 가족에 게도 가족의 삶을 이끌어가는 반복적인 패턴의 유사성을 통해 가족각본을 이해하고자 가족각본의 형성과 세대 간 전수에 대해 정신분석이론(psychoanalytic theory), 애착이론 (attachment theory), 가족치료 이론(family therapy theory)들을 통해 접근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무의식적으로 작동되는 가족각본을 의식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인형치료가 가족각본의 치료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사례를 통해 연구할 것이다.
We are all born not only to be merely a member of a family but also to inherit their history, conflicts and wounds. Therefore the problem of a family which have been repeating an unhappy pattern can be overcome by discovering the pain and scars passed down continually rather than simply ascribing it to someone. In many unhappy family, a certain pattern is found that has las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B. Hellinger, a pioneer of Family constellation, focused on this repetitive pattern. He explained the unconsciously followed pattern using the term ‘script,’ a concept of Transactional Analysis(TA) theory, and called it ‘family script.’ In order to understand that the life script of TA theory has a great influence on one's life and to grasp the family script by examining the similarity between repetitive patterns leading a family's lives, this study attempts to approach the formation of family script and its passing down through the generations in terms of psychoanalytic theory, attachment theory and family therapy theory. Then, it will research on how figure therapy, in which a man is able to express consciously family therapy that works unconsciously, can be incorporated to family script therapy by cases.
Ⅰ. 서 론 Ⅱ. 가족각본의 이론적 이해 Ⅲ. 인형치료를 통한 가족각본의 치료 적용 가능성 Ⅳ. 가족각본의 인형치료 사례 연구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