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중재반응모형과 통합교육의 관계에 대하여 다룬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중재반응모형이 통합교육에 줄 수 있는 영향 및 문제점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에 대한 해결책에 대해 논의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중재반응모형과 통합교육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고, 중재반응모형이 통합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에서 정리해 보았다. 그런 다음, 그러한 논쟁을 바탕으로 통합교육 시 중재반응모형으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들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이러한 쟁점에 대한 해결책으로 다음의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첫째, 완전통합교육과 분리교육 사이에 온건한 타협안으로서 중재반응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이 둘의 장점을 고루 살려야 한다. 둘째, 중재반응모형의 한 가지 모델을 고수하기보다는 상황에 따라 프로토콜모형, 문제해결모형 등을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해야 한다. 셋째, 학부모 및 학교 관계자들의 중재반응모형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장애학생에 대한 낙인효과를 최소화해야 한다. 넷째, 정책적인 지원과 단위학교의 사전 준비 및 학교관계자 간의 협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