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2014년에 발표한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시안을 발표한 시점에 보도한 뉴
스를 통하여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총론 시안의 주요 내용 중 어떠한 내용이 뉴스 보도를
통하여 알려졌으며 중요하게 다루어진 쟁점과 과제를 논의 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제기되고 있는 쟁점으로 첫째, 교육과정 개정에 있어서 교육 수요자의 무관심, 둘째, 교과서의 국정화
논란, 셋째, 잦은 교육과정 개정으로 인한 혼란, 넷째, 교육과정 개정과 수능의 동반 개편 요구, 마지
막으로 국가 정책에 대한 언론의 소극적 태도이다. 쟁점에 대한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의
견 수렴과 정확한 요구 조사를 토대로 교육과정 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다양하고 거시적인
안목을 가질 수 있는 학습 경험을 포함하는 교과서 개발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을 실
행한 이 후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적용․평가를 해야 한다. 넷째, 수능이나 대입 제도에 대한 적극적
이고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교육과정 개정과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국가의 중요한 정책
결정에 있어서 뉴스의 태도는 보다 전문적인 지식과 식견을 갖추어 국민에게 유용한 정보와 다양한
의견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쟁점과 과제에 대한 논의는 2015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
정의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의미를 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