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HTP에서 응용 발전된 S-HTP와 K-HTP가 치료사의 지시어에 따라서 그림의 표현과 반응특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다. 두 검사 모두 집, 나무, 사람을 그리는 것은 동일하지만, K-HTP는 동적인 사람을 표현하게 하는 차이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두 검사 간의 전체적 양식, 집 그림, 나무 그림, 사람 그림의 반응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두 검사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학생 238명을 대상으로 두 그림 검사를 시행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2.0을 이용하여 x²검정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S-HTP와 K-HTP의 전체적 양식의 반응특성은 크기, 순서, 세부묘사, 원근감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집 그림은 크기, 형태, 위치, 지붕, 창문, 문에서 두 검사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나무 그림은 크기와 열매의 유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사람 그림에서는 크기, 사람의 수, 위치, 성별, 행동, 얼굴 방향, 얼굴 표정, 간략화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S-HTP와 K-HTP의 반응특성 차이를 비교할 수 있었고, 그림검사의 지시어가 심리분석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