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상담사의 역전이 경험의 구조와 과정을 심층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여, 역전이 경험에 대한 하나의 실체이론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10년 이상의 임상경험과 한국가족치료학회의 부부가족상담전문가 1급 및 2 급 자격을 취득한 가족상담사 12명과 심층 면담한 자료를 Strauss와 Corbin(2001)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방코딩 결과 255개의 개념, 71개의 하위범주와 2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이들 범주 간의 관계를 패러다임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가족상담사의 역전이 경험을 다루는 과정은 자각단계, 숙고단계, 통찰과 이해단계, 통합단계, 숙달단계이었으며, 이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패턴을 자기 점검형, 내담자 반영형, 자기감정 개방형으로 유형화하였다. 이를 통해 가족상담사의 역전이 경험은 중립성 유지와 관련되며, 부부나 가족의 대인관계적인 측면뿐 아니라 심리내적인 측면을 동시에 이해할 수 있는 자료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가족상담사의 역전이 활용방식은 역전이 개념에 대한 이해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앞으로 가족상담사의 역전이 경험에 대해 더 많은 연구와 논의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