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과후학교 바우처 제도 도입 방안 연구(CR2007-03)
- ㆍ 저자명
- 김창환,chkim,KEDI 김진영,최윤진,김연석,이혜연
- ㆍ 간행물명
-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 ㆍ 권/호정보
- 2007년|
- ㆍ 발행정보
- 한국교육개발원|한국
- ㆍ 파일정보
- 연구보고서|KOR| PDF텍스트
- ㆍ 주제분야
- 교육학
<차 례> Ⅰ. 서 론|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1 2. 연구내용|4 3. 연구방법|4 4. 연구일정|5 5. 연구의 제한점|7 Ⅱ. 바우처 제도의 성격 |8 1. 바우처의 개념|8 가. 바우처의 일반적 개념|8 나. 교육바우처(학교바우처)의 개념|9 다. 방과후학교 바우처의 개념|10 2. 바우처 제도의 목적과 의의 |11 3. 바우처 제도 도입의 기본 전제 |15 4. 학교 바우처 제도에 대한 찬반 입장|15 Ⅲ. 바우처 제도 운영 사례 분석|19 1. 교육 외 분야의 바우처 제도 운영 사례|19 가. 문화바우처|19 나. 여행바우처|21 다. 친환경농업교육바우처|23 라. 산모·신생아 도우미 지원|24 2. 교육 분야의 바우처 제도 운영 사례|26 가. 외국 사례 분석|26 나. 국내 사례 분석|46 Ⅳ. 방과후학교 바우처 제도 도입 방안 |85 1. 방과후학교 바우처 제도 도입의 기본 방안|85 가. 방과후학교 바우처의 개념 |85 나. 방과후학교 바우처 제도 도입의 필요성 및 목적|86 다. 방과후학교 바우처 제도의 추진 방향|87 라. 방과후학교 바우처 제도 시범 운영 방안|88 2. 방과후학교 바우처 제도 도입시의 고려사항|95 가. 예산의 확보·배분·집행 |95 나. 바우처(자유수강권)의 발행 지급 환수|97 다. 관계자 연수|99 라. 수요자 요구 조사 |100 마. 대상학생 선정|100 바. 반편성|101 사. 프로그램의 편성 및 운영|101 아. 대상 학생의 참여 유도, 관리 및 지도|102 자. 지도강사, 교사의 관심 및 전문성 제고|104 차. 강사료의 지급|109 카. 학생과 학부모에 대한 홍보 및 정보교류 |109 참고문헌|111 부록|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