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중학생의 지적·정의적 발달수준 분석 연구(I)(RR2000-09)
- ㆍ 저자명
- 김양분,vitamine,KEDI 현주,hj,KEDI 류덕엽
- ㆍ 간행물명
-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 ㆍ 권/호정보
- 2000년|
- ㆍ 발행정보
- 한국교육개발원|한국
- ㆍ 파일정보
- 연구보고서|KOR| PDF텍스트
- ㆍ 주제분야
- 교육학
< 차 례 >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2. 연구의 내용 | 5 가. 연구의 기본방향 설정 | 7 나. 초등학교 학생들의 대표적인 발달지표 선정 | 7 다. 발달수준 분석을 위한 조사방법 및 조사(검사)도구의 검토․선정과 개발 | 7 라. 조사(검사)도구의 타당성 확인과 발달수준 설정을 위한 현장 실험 및 예비검사 | 7 3. 연구의 방법 | 7 가. 연구의 기본방향 설정 | 8 나. 대표적 발달지표 선정 | 8 다. 발달수준 분석을 위한 조사방법 및 도구선정․개발 | 9 라. 조사(검사) 도구의 타당성 확인 및 발달수준 설정을 위한 현장실험 및 예비검사 실시 | 9 마. 조사(검사) 도구의 수정․보완 | 10 바. 조사(검사) 실시를 위한 도구별 안내서(실시요강) 작성 | 10 Ⅱ. 선행 관련 연구 개관 | 11 1. 발달이론에 나타난 주요 발달적 특징 | 13 2. 선행 발달 연구 분석 | 16 가. 지적발달 | 18 나. 정의적 발달 | 24 다. 발달에 관한 종합적 연구 | 32 라. 미래 사회에서 요구되는 인간상 | 34 3. 발달수준 분석을 위한 관련 자료 및 측정도구에 대한 고찰 | 36 Ⅲ. 대표적 발달지표의 선정 | 41 1. 연구의 기본방향 설정 및 발달지표 선정의 과정 | 43 가. 연구의 기본 방향 설정 | 43 나. 발달지표 선정의 과정 | 44 다. 대표적 발달지표 선정을 위한 워크숍 개최 결과 | 45 2. 학교 현장에서 본 아동의 발달특성 조사 | 50 가. 일선학교의 학급 경영안에 제시된 초등학생의 중요 발달적 특징 | 51 나. 현장교사 대상 질문조사 | 53 3. 교과별 중요 발달지표 추출을 위한 6․7차 교육과정 분석 | 57 가. 교과별 발달지표 선정방법의 예 | 58 나. 교과별로 추출된 주요 발달지표 요약 정리 | 62 다. 발달지표 선정에 관한 워크숍 결과 종합․정리 | 65 Ⅳ. 발달지표별 측정 가능성 조사 | 69 1. 언어 능력 | 74 가. 단어유창성 | 75 나. 대상참조적 의사소통능력 | 83 다. 단어의미(개념) 이해능력 | 90 2. 수 능력 | 99 가. 셈하기 기능의 자동화 | 101 나. 어림하기 능력 | 105 3. 문제해결 능력 | 108 가. 서열화 및 계열화 능력 | 110 나. 유목화 개념습득 및 능력 | 121 다. 논리적 사고능력 | 129 라. 수 추리 | 132 4. 도덕적 판단력 | 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