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상표상의 평가와 성장을 위한 인성교육의 원리 : 자아 기능과 자기의 구조를 중심으로
- ㆍ 저자명
- 김병석
- ㆍ 간행물명
- 청소년상담연구KCI
- ㆍ 권/호정보
- 1998년|6권 1호|pp.7-39 (33 pages)
- ㆍ 발행정보
-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한국
- ㆍ 파일정보
- 정기간행물|KOR| PDF텍스트
- ㆍ 주제분야
- 사회복지학
본 연구는 인성교육에 대한 한가지 틀을 제시하고, 인성교육의 방법을 실용적으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면서 인성을 인간관계나 목표달성을 위한 행동의 효율성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간주하고, 인성을 자아의 기능과 자기의 구조, 즉 자기와 타인에 대해 가지고 있는 인지적 복잡성과 정서적 색조로 규정하였다. 인성교육을 하기 위한 학생의 인성에 대한 평가에는 Bellak, Hurvich, & Gediman의 12가지 자아기능의 개념을 활용하였으며, 자기 표상의 인지적 복잡성과 정서적 색조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Westen(1990)의 척도를 활용하였다. 자아 기능과 자기 표상을 평가하기 위한 자료로는 관찰, 면접, 문장완성검사, 사례내용, 일기, 아동초기기억 등의 담화적 자료(narrative data)를 사용할 것을 권장하였고, 그 예로 아동초기기억과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두 영역에서 실시한 학생의 평가를 기초로 수업시간내외에서 교사가 특별한 훈련 없이 실천할 수 있는 인성교육의 원리와 그에 따른 10가지 방법을 제사하였다. 이런 원리의 효율적인 적용을 위하여 문제학생과 정상학생의 특징을 자아와 자기의 두 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하나의 아이디어를 제시하는 수준에서 구성된 것이다. 이것은 앞으로 더욱 세련된 개념 정리와 충분한 논의, 그리고 시범적 모형의 구성과 실천, 타당성 검증 등으로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I. 들어가기 II. 본론 1. 자아에 대한 논의 2. 인성의 평가 : 자아와 자기의 평가 3. 초기아동기억(Early childhood memories)의 활용 4. 사례기록을 통한 평가 5. 인성교육방법 IV. 요약 및 결론